크론탭 사용법
// 편집
crontab -e
// 작업 내용 확인
crontab -l
// 전체 작업 삭제
crontab -r
실행 주기 설정
# 분 시 일 월 요일 명령
# * * * * * 실행할 명령
# ┬ ┬ ┬ ┬ ┬
# │ │ │ │ │
# │ │ │ │ │
# │ │ │ │ └───── 요일(0 - 7): 0에서 6까지 일요일에서 토요일, 혹은 이름을 사용. 7도 일요일임
# │ │ │ 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 월(1 - 12)
# │ │ 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 일(1 - 31)
# │ 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 시(0 - 23)
# 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 분(0 - 59)
예시
// 매 분마다 실행
* * * * * {실행 명령} or /1 * * * * {실행 명령}
// 매 시 정각에 실행
0 * * * * {실행 명령}
// 매일 오후 13시 정각에 실행
0 13 * * * {실행 명령}
// 매주 월요일 자정에 실행
0 0 * * 1 {실행 명령}
// 매달 5일 자정에 실행
0 0 5 * * {실행 명령}
// 매시 25분, 55분에 실행
25,55 * * * * {실행 명령}
// 15분마다 실행
*/15 * * * * {실행 명령}
// 매일 3시에 실행
0 3 * * * {실행 명령}
// 매 6시간마다(00:30, 06:30, 12:30, 18:30) 실행
30 */6 * * * {실행 명령}
// 1시부터 매 6시간마다(01:30, 07:30, 13:30, 19:30) 실행
30 1-23/6 * * * {실행 명령}
// 평일(월요일~토요일) 06:00에 실행
0 6 * * 1-6 {실행 명령}
// 토요일 07:00에 실행
0 7 * * 6 {실행 명령}
실행 명령
// 크론탭 시작
service cron start
// 크론탭 중지
service cron stop
// 작동확인
service cron status
설정 변경 후 재시작
// crontab 설정 변경 후 항상 cron 서비스를 재시작해야 함
service cron restart
// cron restart 가 안되면 crond restart 를 사용
service crond restart
nano 에디터 사용법
파일 저장 : Write Out (Ctrl + o) -> Enter -> (저장 후 종료)Ctrl + x
복사 : Alt + 6
잘라내기 : Ctrl + k
붙여넣기 : Ctrl + u
REFERENCE
(5) cron으로 작업을 스케줄링하기
cron은 유닉스 시스템에서 스케줄에 의한 작업을 구성하는 도구입니다. 명령 또는 스크립트를 고정된 주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실행하도록 스케줄하는 데에 사용합니다. 사용자의 홈 폴…
wikidocs.net
[Linux] 크론 (Cron) 크론탭(Crontab) 사용법
# 크론 (Cron) 크론탭(Crontab) 사용법 1. 크론탭(Crontab)과 크론(Cron) ? 리눅스(Linux) 계열에서 특정 시간에 특정 작업을 하는 데몬을 Cron(크론)이라 하고 크론(Cron) 이 언제 무엇을 하는지 특정 파일에 저
asufi.tistory.com
https://www.skyer9.pe.kr/wordpress/?p=627
nano 에디터 사용법 – 상구리의 기술 블로그
nano 에디터 사용법 개인적으로는 vim 을 선호하지만, 가끔 nano 를 에디터로 설정하는 프로그램(mutt 같은) 이 있어 간단한 사용법을 정리합니다. 기본 사용법 파일 생성 및 저장 아래 명령으로 nano
www.skyer9.pe.kr
728x90
'Develope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밍]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 (0) | 2023.06.29 |
---|---|
[디자인] 시각 디자인 규칙 (0) | 2023.03.07 |
[Git] private repository에 개발중인 project push 하기 (0) | 2023.02.09 |